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직생활 관련 정보19

교직원 복지사이트 이용방법(포인트 차감) 안녕하세요 매년 2월말~3월초 쯤 교직원 복지포인트가 나오는데요~나의 복지에 들어가면 포인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우선 포인트가 지급되면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복지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분야가 있는데요 말그대로 복지에 관한 겁니다. ㅋ건강에 관한 것(병원, 약국, 렌즈구입, 스크린 야구, 골프연습장 등), 자기계발(독서, 잡지 구독 등), 가족친화(가족외식, 케잌 등), 여행문화(숙박, 렌트카 등) 이 외에도 엄청 많은 항목들이 있는데요~~~ 사실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사는게 훨씬 싸긴 합니다. 공짜돈이라 생각하면 쓰겠지만.. ㅋ그래서 전 보통 병원비를 지불하는데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1년정도 하면 보통 20~30만원정도 .. 2017. 6. 29.
교사 재테크 #4. KT 멤버십 할인 혜택 활용 안녕하세요~ 아직까진 큰 돈을 버는 재테크는 아니고 재테크의 기본, 절약, 아주 소소한 것들인데요우선 이러한 것들이 몸에 베어 있어야 그 다음 큼지막한 것들을 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10번째까진 제가 사회 초년생일때부터 해오던 습관, 아마 좀 알뜰한 대학생이면 누구나 시작하고 있는 것들부터 쓰고 나중에는 큰 돈을 벌었던 경험에 대해 써보려 합니다.우선 작은 돈이라도 절약하자는 의미에서 우리나라 성인이면 99%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 그 휴대폰의 통신사별 혜택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저의 통신사인 KT 멤버십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꼭 자주가는 곳에 대한 것을 기억한 뒤 까먹지 말고 쓰도록 합시다 안그럼 1년동안 포인트 다 쓰지 못할 거예요~ KT 멤버십은 "Down(할인혜택)+Up.. 2017. 6. 26.
교사 월급(월급명세서) - 21호봉 6월 급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교사 21호봉 월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매월 17일은 교사들의 월급이 나오는 날입니다.신규교사도 3월 1일 임용이 되더라도 17일에 월급이 전부 나옵니다.저도 신규때 3월 1일 임용이니 3월 17일이면 월급이 절반만 나오지 않나 고민한 적이 있었는데 다행이도 전부 나옵니다.그리고 학교마다 조금 다르긴 하나 저의 경험으로 비추어 빠른 학교는 11일쯤에 월급명세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느린 학교는 하루 전날 16일이 되어서야 월급명세서를 조회할 수 있었습니다. 일단 이번 달 월급이 나오진 않았지만 조회가 가능하기에 조회를 했습니다. 월급명세서에 나오는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아래 사진은 2017년 6월 급여명세서입니다. 11년차에 21호봉이라고 적혀 있는데 실제 교육경력은 만으로.. 2017. 6. 14.
교직원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방법 및 검사결과 조회 오늘 포스팅 내용은 교직원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방법과 검사결과 조회 방법입니다. 준비물은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되는데요~ 국민보험공단사이트 2. 공인인증서 로그인 3.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 및 검진대상 확인서 인쇄하기 병원에서는 확인서 없이 그냥 와도 된다고 하네요~~~ 건강검진하는 방법이 달라졌는데 예전에는 홀수년에는 홀수년생이 검진을 받고 짝수년에는 짝수년생이 검진을 받았었는데 올해는 조금 달라졌네요 저도 홀수년생이라 올해 검진을 받아야 했는데 기본검진만으로 바뀌어 내년에 제대로 검사를 받아야 하네요~ 아무쪼록 전부 자신의 몸은 자기가 잘 관리합시당~ 2017. 5. 18.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및 신청(남자 출산휴가) 배우자 출산휴가(교사 남자 출산휴가) 기간 및 신청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이제 저도 곧 3번째 아이가 여름이 되면 나올 예정인데요 셋째는 딸이길 간절히 바랬으나 또 듬직한 아들을 주셨네요~~ ㅋ 아무튼 첫째, 둘째 때는 아무것도 모르고 출산하고 바로 휴가를 썼지만 이번엔 제대로 써야겠어요~ 2012년부터 정부는 배우자 출산 휴가 유급화를 실시하였습니다. 무급 2일에 유급 3일, 필요시 총 5일을 쉴 수 있는 제도지만 출산 휴가를 신청하는 남성은 전체의 4퍼센트 수준이라고 하니, 혜택을 받는 맞벌이 부부는 그닥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스웨덴에서 1974년에야 도입했던 ‘부모 휴가 제도’를 우리나라는 세종대왕 때 이미 시행한 바가 있습니다. 『세종실록』에는 노비들의 출산을 걱정하며 세종이 직.. 2017. 5. 9.
교사 재테크 #3. 연금보험(우체국 연금보험) 2007년 임용에 떨어져서 재수하는 시절 TV에서 우연히 경제야 놀자를 보았습니다. 복리의 마법이라고 하면서 연금보험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데 너무 솔깃했습니다. 이 당시 갓 졸업한 상태이고 재테크는 아무것도 몰랐고 그냥 통장에 몇백만원이 다였습니다. 근데 복리의 마법을 실제로 계산해 보니 20년 이상이면 좀 오르고 30년 40년 상품만 존재 한다면 엄청난 이득이 되는 걸 보았습니다. 그 당시 연금보험 연이율이 4~6%대였습니다. 6%로 라고 가정하면 원금이 두배되는 시간 계산 공식 : 72 / (금리) 이걸 활용하면 12년입니다. 예를 들면 100만원 넣어두고 6% 복리 상품에 가입하면 12년 후에는 200만원이 되는거죠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엄청난 효과가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계산기에다가 100만.. 2017. 2. 4.